맨위로가기

쌍용 체어맨

"오늘의AI위키"는 AI 기술로 일관성 있고 체계적인 최신 지식을 제공하는 혁신 플랫폼입니다.
"오늘의AI위키"의 AI를 통해 더욱 풍부하고 폭넓은 지식 경험을 누리세요.

1. 개요

쌍용 체어맨은 1997년 대한민국 시장에 출시된 쌍용자동차의 고급 세단이다. 1세대 모델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W124)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벤츠 S클래스(W140)의 디자인을 참고했다. 1998년 대우자동차에 인수되면서 "대우 체어맨"으로 판매되기도 했으며, 2000년 쌍용 브랜드 부활 후 다시 "쌍용 체어맨"으로 환원되었다. 2008년 체어맨 W가 출시되면서 체어맨 H로 이름이 변경되었고, 2011년 페이스리프트를 거쳐 2013년 단종되었다. 2008년 출시된 2세대 체어맨 W는 V8 5.0L 엔진과 7단 자동변속기를 탑재했으며, 2011년 뉴 체어맨 W로 페이스리프트를 거쳤다. 2016년 체어맨 W 카이저로 상품성을 개선했으나, 2017년 12월 생산 중단 후 2018년 3월 단종되었다.

2. 역사



쌍용 체어맨의 역사는 다음과 같이 요약될 수 있다.

1997년, 쌍용자동차는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을 바탕으로 E-클래스(W124) 플랫폼을 활용하여 고급 세단인 체어맨을 출시했다. 체어맨의 외형은 S-클래스(W140)와 유사하게 디자인되었으며, W220 S-클래스의 디자인을 일부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았다.[2] 초기 체어맨은 2.3L, 2.8L, 3.2L 가솔린 엔진 라인업을 갖추고 있었으며, 모두 5G-TRONIC 5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1998년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현 한국GM)에 인수되면서 "대우 체어맨"으로 판매되기도 했으나, 2000년 쌍용 브랜드 부활과 함께 다시 "쌍용 체어맨"으로 환원되었다. 2003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전후면 디자인이 크게 변경된 뉴 체어맨이 출시되었고, 2006년에는 3.6L 엔진이 추가되었다.

2008년에는 체어맨 W가 출시되면서 기존 체어맨은 체어맨 H로 이름이 변경되어 병행 판매되었다. 체어맨 W는 쌍용 WZ 콘셉트 카를 기반으로 디자인되었으며, 'W'는 '월드 클래스(World Class)'를 의미했다. 전자 제어식 자동 수평 조절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넓은 뒷좌석 공간, 앞/뒷좌석 전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제어 화면 등 첨단 기술과 편의 사양을 갖추었으며, 고급 유럽 세단에서 주로 사용되던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한 최초의 한국 고급 세단이었다.[4]

2011년에는 디자인과 기능을 개선한 뉴 체어맨 W가 출시되었으며, 2016년에는 "체어맨 W 카이저(KAISER)"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2017년 12월, 쌍용자동차는 체어맨의 단종을 발표했다. 이로써 20년이 넘는 체어맨의 역사는 막을 내렸으며, 쌍용자동차는 SUV 및 크로스오버 차량에 집중하게 되었다.

모델출시 시기엔진배기량출력
2.3 I4 150출시부터4기통 직렬 가솔린2,299 cc110kW
2.8 I6 200출시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2,799 cc145kW
3.2 I6 220출시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3,199 cc162kW
3.6 I6 2802007년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3,598 cc206kW


2. 1. 1세대 (W100, 1997년~2014년)

1세대 체어맨(W100)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W124) 플랫폼을 기반으로 쌍용자동차에서 1997년에 출시한 고급 세단이다. 외형은 W140 S-클래스와 유사하게 디자인되었으며, W220 S-클래스의 디자인을 일부 반영했다는 평가를 받았다. 메르세데스-벤츠는 쌍용에게 디자인 변경과 함께 유럽 등 주요 시장에 판매하지 말 것을 요청하기도 했다.[2]

2008년에는 체어맨 W가 출시되면서 기존 체어맨은 체어맨 H로 이름이 변경되어 병행 판매되었다. 2003년부터 2008년까지 생산된 모델과 동일한 디자인을 유지했으며, 외관, 실내, 엔진, 변속기 등 주요 기능도 그대로 유지되었다. 2003년에는 전면 그릴, 전조등 및 후미등, 실내 디자인 등이 개선되었다.[2]

2005년형 체어맨은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W124)를 기반으로 열선 및 냉각 컵홀더, 후방 주차 센서, 레인센서 와이퍼, ABS, 자세 제어, 구동력 제어 등의 기능을 갖추고 있었다. 낮은 평가와 판매 부진으로 인해 일부 국가에서는 대우자동차 브랜드로 판매되기도 했다.[2]

1998년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현재의 한국GM)에 인수되면서 "대우 체어맨"으로 판매되었으나, 2000년 쌍용 브랜드 부활과 함께 다시 "쌍용 체어맨"으로 환원되었다. 2001년에는 라디에이터 그릴과 알루미늄 휠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2003년에는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전후면 디자인이 크게 바뀌었다. 2006년에는 3.6L 엔진이 추가되었다.[2]

2008년 "체어맨 W" 출시 이후 "체어맨 H"로 이름이 변경되었으며, 3.2L 엔진의 "600S"와 2.8L 엔진의 "500S" 등급으로 축소되었다. 2011년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전면 디자인이 대폭 변경되었으나, 2013년 모델이 단종되었다.

모델출시 시기엔진배기량출력
2.3 I4 150출시부터4기통 직렬 가솔린2,299 cc
2.8 I6 200출시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2,799 cc
3.2 I6 220출시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3,199 cc
3.6 I6 2802007년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3,598 cc


2. 1. 1. 체어맨 (1997년~2003년)

쌍용 체어맨 (전기형) 정측면


쌍용 체어맨 (전기형) 후측면


쌍용자동차메르세데스-벤츠와 기술 제휴를 맺고 메르세데스-벤츠 E 클래스(W124) 플랫폼을 기반으로 개발한 첫 번째 승용차이다. 1997년 9월 25일 생산 공장 준공과 함께 생산을 시작하여 10월 14일에 출시되었다. 메르세데스-벤츠의 수석 디자이너 갈리첸 도르프가 디자인 개발에 참여하여 벤츠 승용차와 흡사하고, 대형차임에도 역동적인 디자인을 갖추었다. 대한민국산 승용차 최초로 5단 자동변속기와 연비 표시 트립 컴퓨터를 적용했다.[6]

현대 다이너스티 리무진 모델이 뒷문을 늘린 것과 달리, 체어맨 리무진은 B 필러를 늘렸다. 1998년 대우자동차(한국GM의 전신)가 쌍용자동차를 인수하면서 대우 체어맨으로 판매되었는데, 당시 대우자동차의 패밀리 룩인 3분할 라디에이터 그릴이 적용되었으나 디자인과 어울리지 않는다는 혹평을 받았다. 2000년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에서 분리되면서 기존 쌍용자동차 엠블럼이 들어간 라디에이터 그릴을 다시 적용하였다.

1999년 4월 영국 엘리자베스 2세 여왕이 대한민국을 방문했을 때 의전 차량으로 사용되었다.[7] 2000년 3월에는 직렬 6기통 2.8L 엔진과 직렬 6기통 3.2L 엔진 외에 직렬 4기통 2.3L 엔진을 장착한 보급형 트림 CM400을 추가했다.[8] 2001년 4월에는 세로 바가 적용된 새로운 라디에이터 그릴, 우적 감지 센서 내장 와이퍼, 오토 라이트 컨트롤 등을 적용하였다.[9]

구분체어맨
직렬 4기통 2.3L
체어맨
직렬 6기통 2.8L
체어맨
직렬 6기통 3.2L
전장
(mm)
5,0555,055
5,355(리무진)
전폭
(mm)
1,825
전고
(mm)
1,4651,465
1,475(리무진)
축거
(mm)
2,9002,900
3,200(리무진)
윤거
(전, mm)
1,550
윤거
(후, mm)
1,540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4단
자동 5단
자동 5단
서스펜션
(전/후)
댐퍼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후륜 구동
엔진 형식161974162944162
연료가솔린
배기량
(cc)
2,2952,7993,199
최고 출력
(ps/rpm)
150/5,500197/5,500220/5,500
최대 토크
(kg*m/rpm)
22.4/4,00027.6/3,75032.0/3,800
연비
(km/L)
9.2(자동 4단)/
9.6(자동 5단)
(이후 8.2(자동 4단)/
8.8(자동 5단)로 변경)
9.1(자동 5단)
(이후 7.9(자동 5단)로 변경)
8.6(자동 5단)
(이후 7.7(자동 5단)로 변경)


2. 1. 2. 뉴 체어맨 (2003년~2008년)

2003년 9월 25일, 출시 6년 만에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뉴 체어맨이 출시되었다. 외관은 역동적인 모습을 유지하면서도 보수적인 느낌을 더했다. 실내는 아날로그 계기판을 디지털 계기판으로 바꾸는 등 고급스럽게 개선되었다. 대한민국산 자동차 최초로 DVD 형태의 내비게이션을 탑재했다.[10]

옛 체어맨의 직렬 4기통 2.3L 엔진에는 4단 자동변속기도 조합되었으나, 뉴 체어맨부터는 5단 자동변속기만 적용되었다. 2005년 3월 11일에는 타이어 공기압 경보 장치(TPMS), 전자 제어 에어 서스펜션(EAS), 전자동 파킹 브레이크(EPB)를 적용한 뉴 테크 트림을 선보였다.[10] 2006년 1월에는 판매 부진으로 직렬 4기통 2.3L 엔진이 단종되었다. 2006년 6월 15일에는 휠 디자인, 후드 엠블럼, 스티어링 휠 로고를 변경하고, LED 사이드 리피터 내장 사이드 미러와 차선 이탈 경고 시스템(LDWS)을 추가한 2007년형 모델을 출시했다.[11] 이와 함께 직렬 6기통 3.6L 엔진이 추가되었고, 범퍼와 사이드 가니쉬 색상도 변경되었다.

구분뉴 체어맨
직렬 4기통 2.3L
뉴 체어맨
직렬 6기통 2.8L
뉴 체어맨
직렬 6기통 3.2L
뉴 체어맨
직렬 6기통 3.6L
전장
(mm)
5,1355,135
5,435(리무진)
전폭
(mm)
1,825
전고
(mm)
1,4651,465
1,475(리무진)
축거
(mm)
2,900(2003년~2006년)
2,895(2006년~2008년)
2,900(2003년~2006년)
2,895(2006년~2008년)
3,200(2003년~2006년 리무진)
3,195(2006년~2008년 리무진)
윤거
(전, mm)
1,550
윤거
(후, mm)
1,540
승차 정원5명
변속기자동 5단
서스펜션
(전/후)
댐퍼 스트럿/멀티 링크
구동 형식후륜 구동
엔진 형식161974162944162163944
연료가솔린
배기량
(cc)
2,2952,7993,1993,598
최고 출력
(ps/rpm)
150/5,500197/5,500
(이후 197/6,000으로 변경)
220/5,500
(이후 220/6,000으로 변경)
248/6,400
최대 토크
(kg*m/rpm)
22.4/4,00027.6/3,750
(이후 27.6/4,600으로 변경)
32.0/3,800
(이후 31.0/4,600으로 변경)
35.0/3,300
연비
(km/L)
8.8(자동 5단)7.9(자동 5단)7.7(자동 5단)
(이후 7.8(자동 5단)로 변경)
8.0(자동 5단)


2. 1. 3. 체어맨 H (2008년~2011년)

2008년 1월 3일에 기존 뉴 체어맨이 체어맨 H로 차명이 변경되었다. H는 하이 오너(High Owner)의 줄임말이며, 기존 뉴 체어맨에 비해 라인업이 축소되었다.[1] 원래대로라면 뉴 체어맨은 체어맨 W가 출시됨과 동시에 단종되어야 하나, 쌍용자동차의 자금 사정상 신차 개발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여 기존 뉴 체어맨의 편의 사양 및 안전 사양을 대폭 삭제해 가격을 낮춰 체어맨 W와 더불어 선택의 폭을 넓힌 것이 체어맨 H이다. 이 때문에 기존 뉴 체어맨 오너들의 반발을 사기도 했다.[1] 이에 따라 경쟁 차종이 현대 에쿠스에서 현대 제네시스기아 오피러스 등으로 바뀌었다.[1]

쌍용 체어맨 H 정측면


쌍용 체어맨 H 후측면

2. 1. 4. 체어맨 H 뉴 클래식 (2011년~2014년)

2011년 3월 서울모터쇼에서 처음 공개되고, 같은 해 5월 27일 출시된 체어맨 H 뉴 클래식은 신선함을 유지하고 상품성을 강화하기 위해 페이스리프트를 거친 모델이다. 대시보드를 변경하고, 하이빔과 로우빔이 결합된 LED 라이트 가이드 내장 헤드 램프, USB 단자, 파워 아울렛, 3.5인치 LCD 내장 슈퍼비전 클러스터 등을 적용하여 상품성을 높였다.[12]

2012년 4월 9일에는 2013년형 모델이 출시되었다. 세로형 라디에이터 그릴, 테일램프 호박색 방향지시등, 듀얼암 와이퍼 등이 적용되었으며, 프론트 브레이크를 기존 1P에서 2P로 업그레이드하였다. 또한 하만 그룹의 프리미엄 사운드 시스템과 뒷좌석 센터 3점식 시트 벨트를 적용하여 안전성과 편의성을 강화했다.[12]

이러한 개선에도 불구하고, 체어맨 H 뉴 클래식은 저조한 판매 실적을 이어갔다. 결국 2015년 1월에 단종되었으며, 잦은 페이스리프트에도 불구하고 18년 이상 생산되어 "우려먹기" 논란이 있던 차종이었다.[12]

쌍용 체어맨 H 뉴 클래식 (전기형) 정측면


쌍용 체어맨 H 뉴 클래식 (전기형) 후측면

2. 2. 2세대 (W200, 2008년~2017년)

2008년에 출시된 체어맨 W는 쌍용 WZ 콘셉트 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W'는 '월드 클래스(World Class)'를 의미한다.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을 바탕으로 개발되어 대한민국 고급 세단 시장의 새로운 기준을 제시하였다.

체어맨 W는 전자 제어식 자동 수평 조절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 소음 및 진동 감소를 위한 리바운드 코일, 넓은 뒷좌석 공간, 앞/뒷좌석 전용 엔터테인먼트 시스템 제어 화면 등 첨단 기술과 편의 사양을 갖추었다. 또한 고급 유럽 세단에서 주로 사용되던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한 최초의 한국 고급 세단이었다.

2011년 7월에는 디자인과 기능을 개선한 뉴 체어맨 W가 출시되었다. 헤드라이트, 라디에이터 그릴, 리어 램프 등 외관 디자인이 변경되었고, 오토 레벨링 HID 헤드라이트, LED 방향 지시등, 신규 디자인 트립 컴퓨터 등 첨단 기능이 추가되었다. 3.2L 4WD 모델인 "CW600 4Tronic"이 추가되었으며, 전장이 증가하여 더욱 웅장한 외관을 갖추게 되었다.

2016년 2월 "체어맨 W 카이저(KAISER)"로 이름이 변경되었다. 카이저는 독일어로 "황제"를 의미한다.

2017년 12월, 쌍용자동차는 체어맨의 단종을 발표했다. 이로써 20년이 넘는 체어맨의 역사는 막을 내렸으며, 쌍용자동차는 SUV 및 크로스오버 차량에 집중하게 되었다.

2. 2. 1. 체어맨 W (2008년~2011년)

2008년 쌍용자동차는 V8 5리터 엔진과 메르세데스-벤츠의 7G-트로닉 자동변속기를 장착한 새로운 플래그십 모델인 체어맨 W를 출시했다. 체어맨 W는 쌍용 WZ 콘셉트 카를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W'는 '월드 클래스(World Class)'를 의미한다.[3]

체어맨 W는 6가지 트림, 2가지 엔진, 리무진 버전, 그리고 4-트로닉(4-Tronic, 메르세데스-벤츠 4매틱) AWD 시스템을 선택할 수 있도록 구성되었다.[4] 뉴 체어맨에 탑재되었던 XGi360 직렬 6기통 엔진은 엔트리 모델로 이관되었고, 5리터 V8 메르세데스-벤츠 M113 엔진과 7G-트로닉 변속기는 VVIP 및 롱 휠베이스(LWB) 모델을 포함한 두 가지 고급 모델에 적용되었다. 특히 이 5리터 V8 엔진은 대한민국에서 생산된 가장 큰 V8 엔진이었다.[3]

체어맨 W는 전자 제어식 자동 수평 조절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으며, 소음과 진동을 줄이기 위한 리바운드 코일, 넓은 뒷좌석 공간[4], 그리고 크라이슬러의 마이긱과 유사하게 차량의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앞좌석 및 뒷좌석 전용 화면을 갖추고 있었다.

체어맨 W는 고급 유럽 세단에서 주로 사용되던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한 최초의 한국 고급 세단이었다.[4]

체어맨 W는 전후 렌즈 주변과 사이드 미러 내장 방향 지시등에 LED를 적용하여 고급스러움과 기능성을 높였다. 또한, 하만 카돈 오디오 시스템, 전자 제어 서스펜션,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스마트키 및 푸시 스타트 시스템 등 다양한 편의 및 첨단 장비를 갖추었다.

등급은 3.2L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한 "CW600", 3.6L 직렬 6기통 엔진을 탑재한 "CW700", 그리고 메르세데스-벤츠의 5L V8 엔진(M113)을 탑재한 "V8 5000"의 세 가지를 기본으로 하였다. CW700과 V8 5000에는 휠베이스를 300mm 늘린 리무진 모델인 "CW700L Limousine"과 "V8 5000L Limousine", 그리고 하이엔드 모델인 "SUMMIT"가 있었다. 또한 CW700에는 4륜구동 모델인 "CW700L 4Tronic"도 있었다. 모든 차량은 7G-트로닉 7단 자동변속기와 조합되었다.

2. 2. 2. 뉴 체어맨 W (2011년~2017년)

2011년 7월, 쌍용자동차는 기존 체어맨 W의 디자인과 기능을 대폭 개선한 뉴 체어맨 W를 출시했다.
주요 변경 사항:

  • 디자인:
  • 전면부: 헤드라이트, 라디에이터 그릴 등 변경
  • 후면부: 리어 램프 디자인 변경
  • 사이드 미러 내장 LED 방향 지시등 적용
  • 범퍼 일체형 배기 마감재 적용[3]

  • 기능:
  • 오토 레벨링 기능 HID 헤드라이트
  • LED 방향 지시등
  • 신규 디자인 트립 컴퓨터
  • 하만 카돈 오디오 시스템
  • 전자 제어 서스펜션
  • 전자식 파킹 브레이크
  • 스마트키 & 푸시 스타트 시스템[3]

  • 라인업: 3.2L 4WD 모델 "CW600 4Tronic" 추가

  • 크기: 전장 증가 (기본: 5,135mm, 리무진: 5,435mm)

등급:

등급엔진특징
CW6003.2L 직렬 6기통
CW7003.6L 직렬 6기통
V8·50005L V8 (M113, 메르세데스-벤츠)
CW700L Limousine3.6L 직렬 6기통CW700 휠베이스 300mm 연장
V8·5000L Limousine5L V8 (M113)V8·5000 휠베이스 300mm 연장
SUMMIT하이엔드 모델
CW700L 4Tronic3.6L 직렬 6기통CW700에 4륜구동 시스템 적용



모든 차량은 7G-트로닉 7단 자동변속기와 조합되었다.[3]

3. 모델

쌍용 체어맨은 1997년 메르세데스-벤츠와의 기술 제휴를 통해 탄생한 대형 세단이다.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W124) 플랫폼을 기반으로 제작되었으며, 외형은 S클래스(W140) 디자인을 참고했다.

2008년에는 새로운 플래그십 모델인 체어맨 W가 출시되었다. 체어맨 W는 쌍용 WZ 컨셉트 카를 기반으로 개발되었으며, 'W'는 '월드 클래스(World Class)'를 의미한다. 대한민국산 승용차 최초로 V형 8기통 5.0L 엔진과 7단 자동변속기(메르세데스-벤츠제)가 적용되었고, 4륜구동 시스템도 선택 사양으로 제공되었다.[13]

체어맨 W는 6가지 트림과 2가지 엔진, 리무진 버전, 그리고 4트로닉(4륜구동, 메르세데스-벤츠 4MATIC)으로 제공되었다. 5리터 V8 M113 엔진과 7G-트로닉 변속기가 장착되었으며, 전자 제어식 자동 수평 조절 에어 서스펜션 시스템을 갖추었다.[3] 또한, 뒷좌석 공간을 확장하고,[4] 차량 엔터테인먼트 시스템을 제어할 수 있는 전용 화면을 갖추는 등 고급 편의 사양을 강화했다.

체어맨 W는 고급 유럽 세단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사륜구동 시스템을 적용한 최초의 한국 럭셔리 세단이었다.[4]

기존 체어맨은 체어맨 W와 차별화하기 위해 체어맨 H로 이름이 변경되어 병행 판매되었다. 체어맨 H는 메르세데스-벤츠 디자인을 유지하며, 열선 및 냉각 컵 홀더, 후방 주차 센서, ABS, ESC, TCS 등의 기능을 갖추었다.[2]

체어맨 H 엔진 라인업
모델엔진배기량출력
2.3 I4 1504기통 직렬 가솔린2,299 cc
2.8 I6 2006기통 직렬 가솔린2,799 cc
3.2 I6 2206기통 직렬 가솔린3,199 cc
3.6 I6 2806기통 직렬 가솔린3,598 cc



체어맨 W 엔진 라인업
모델이름엔진배기량출력토크
3.2 I6XGi320직렬 6기통, 가솔린3,199 cc
3.6 I6XGi360직렬 6기통, 가솔린3,598 cc
5.0 V8XGi500V형 8기통, 가솔린4,966 cc



2017년 11월 23일, 쌍용자동차는 체어맨의 단종을 발표했다.

3. 1. 1세대

W124형 메르세데스-벤츠 E클래스 플랫폼을 기반으로 한 쌍용자동차의 첫 고급 세단으로, 초대 체어맨은 "벤츠의 혈통"이라는 광고 문구를 사용할 정도로 메르세데스-벤츠의 기술력을 적극 도입했다. 외관은 S클래스(W140형)를 참고하여 디자인되었다.

초기 라인업은 메르세데스-벤츠의 라이선스를 받아 생산된 3.2L 직렬 6기통 "CM600", 2.8L 직렬 6기통 "CM500", 2.3L 직렬 4기통 "CM400"의 세 가지였으며, 모두 5G-Tronic 5단 자동변속기가 조합되었다.

  • 1997년 - 출시.
  • 1998년 - 쌍용자동차가 대우자동차(현재의 한국GM)에 인수되어 "대우 체어맨"으로 판매되었다.
  • 2000년 - 쌍용 브랜드 부활과 함께 차명이 "쌍용 체어맨"으로 환원되었다.
  • 2001년 - 라디에이터 그릴과 알루미늄 휠 디자인이 변경되었다.
  • 2003년 -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전면 및 후면 디자인이 크게 변경되었다.
  • 2006년 - 3.6L 엔진이 추가되었다.
  • 2008년 - 체어맨 W 출시와 함께 차명이 "체어맨 H"로 변경되었다. 3.2L 엔진의 "600S"와 2.8L 엔진의 "500S"로 등급이 통합되었으며, 일반형 모델만 남았지만 체어맨 W와 병행 판매되었다.
  • 2011년 - 페이스리프트를 통해 전면 디자인이 대폭 변경되었다.
  • 2013년 - 모델 단종.


모델출시 시기엔진배기량출력
2.3 I4 150출시부터4기통 직렬 가솔린2,299 cc
2.8 I6 200출시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2,799 cc
3.2 I6 220출시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3,199 cc
3.6 I6 2802007년부터6기통 직렬 가솔린3,598 cc


3. 2. 2세대

2011년 7월 6일에 기존 체어맨 W의 페이스 리프트 모델인 뉴 체어맨 W가 출시되었다. 현대적인 감각을 더하여 디자인을 개선하였고, 다음과 같은 사양들이 새롭게 적용되었다.

  • 자연광에 가까운 색도와 우수한 조사 성능 및 수명을 자랑하는 오토 레벨링 HID 헤드 램프
  • 고휘도 LED 방향 지시등
  • 범퍼 일체형 듀얼 머플러
  • 차량 이미지가 추가되어 직관성을 높인 트립 컴퓨터
  • 이중 접합 차음 유리


직렬 6기통 3.6L 엔진에만 적용되던 4륜구동(4 트로닉) 시스템을 3.2L 엔진에도 적용하여 선택의 폭을 넓혔다.

2013년 4월 서울 모터쇼에서는 2열 2인승 시트와 스코틀랜드 브릿지 오브 웨어 사의 가죽 시트가 적용된 서미트 트림(리무진)과 바우 에디션 트림(세단)이 추가되었다.

2014년 6월에 출시된 2015년형은 세이프티 전방 카메라가 모든 트림에 새롭게 적용되었고, 4륜구동(4 트로닉) 시스템을 CW600(직렬 6기통 3.2L 엔진)과 CW700(직렬 6기통 3.6L 엔진)의 모든 트림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또한, 2열 USB 충전기와 앞 좌석 3단 통풍 시트, 세로형 라디에이터 그릴이 모든 트림에 확대 적용되었다. 새롭게 디자인된 19인치 하이퍼 실버 스퍼터링 휠과 19인치 다이아몬드 커팅 휠도 추가되었다. 같은 해 7월에는 대한민국리무진 최초로 4륜구동(4 트로닉) 시스템을 CW700L(직렬 6기통 3.6L 엔진) 트림에서 선택할 수 있게 되었다.

2016년 2월에는 상품성을 개선한 체어맨 W 카이저가 출시되었다. 독일어황제를 뜻하는 카이저라는 새로운 브랜드명을 사용하고, 엠블럼을 황제의 상징인 독수리를 형상화한 카이저 엠블럼으로 교체했다. 시트와 도어 트림에는 퀼팅 패턴을 적용하고, 대시보드에는 블랙 글로시 타입의 새로운 우드 그레인과 골드 컬러 몰딩을 적용하여 고급스러움을 강조했다. 전동식 세이프티 파워 트렁크, 19인치 스퍼터링 휠, 액티브 크루즈 컨트롤 등이 확대 적용되었다.

2017년 7월부터 판매가 부진한 리무진은 주문 제작 형식으로 변경되었고, 정식 판매는 세단만 남았다. 같은 해 9월부터는 판매가 부진한 V형 8기통 5.0L 엔진 장착 사양 역시 주문 제작 형식으로 변경되었다. 그러나 대한민국에서 저유가로 인해 세단보다 SUV와 픽업트럭의 판매율이 높아짐에 따라 판매량이 감소했고, 제네시스 G90, 기아 K9, 메르세데스-벤츠 S 클래스, BMW 7 시리즈, 아우디 A8, 캐딜락 CT6 등 경쟁 차종들의 선전으로 인해 결국 2017년 12월에 생산이 중단되었다. 이후 남은 재고가 판매되다가 2018년 3월에 후속 차종 없이 단종되었다. 이로써 1997년부터 판매되었던 대형 세단 체어맨은 2018년쌍용자동차 역사 속으로 사라지게 되었다.

4. 디자인

CHAIRMAN영어영어로 「의장, 회장」을 의미한다.

또한, 「고급차를 타는 특별한 자존심과 긍지를 준다」는 의미를 나타내는 동시에 「H」는 HIGH(높은), 「W」는 World Class(세계 최고)의 각 머리글자를 나타낸다.

5. 해외 판매

체어맨 H는 전 세계적으로 판매되었지만, 낮은 평가와 쌍용자동차 딜러 부족으로 인해 대한민국 외 지역에서는 판매가 매우 저조했다. 이는 일부 국가에서 차량을 대우로 배지 엔지니어링하면서 부분적으로 해결되었으며, 대우의 기업형 그릴도 포함되었다. 대우 버전은 2002년까지 제공되었으며, 대우 스테이츠맨(배지 엔지니어링된 홀덴)을 출시한 2005년까지 대체되지 않았다.[2]

6. 기타

'''체어맨(CHAIRMAN)'''은 영어로 '의장', '회장'을 의미한다. 또한, '고급차를 타는 특별한 자존심과 긍지를 준다'는 의미와 함께 'H'는 '높은(HIGH)', 'W'는 '세계 최고(World Class)'의 머리글자를 나타낸다.

참조

[1] 뉴스 獨 벤츠 "체어맨 되게 신경쓰이네" https://news.naver.c[...] NAVER Corp. 1997-10-30
[2] 웹사이트 2011 Ssangyong Chairman H unveiled in Seoul http://www.caradvice[...] CarAdvice.com.au 2011-04-08
[3] 웹사이트 The Car Web: Ssangyong Chairman W: The Launch http://the-car-web.b[...] The-car-web.blogspot.com 2008-02-23
[4] 웹사이트 INSIDE JoongAng Daily http://joongangdaily[...] Joongangdaily.joins.com 2009-10-01
[5] 웹사이트 The Story Of The Roewe R95, A Mercedes-powered Korean-Chinese Limousine {{!}} ChinaCarHistory https://chinacarhist[...] 2018-09-26
[6] 뉴스 <備忘錄> 獨 벤츠 "체어맨 되게 신경쓰이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7-10-30
[7] 뉴스 <회전목마> 영국 여왕 체어맨 탄다 https://news.naver.c[...] 연합뉴스 1999-04-08
[8] 뉴스 자동차 업체들, 옵션줄여 가격 낮춘 경제형 모델 출시 https://news.naver.c[...] 한국경제신문 2000-02-29
[9] 뉴스 쌍용차, 신형 체어맨 9일부터 시판 https://news.naver.c[...] 매일경제신문 2001-04-08
[10] 뉴스 쌍용차, 뉴체어맨 '뉴 테크' 모델 출시 https://news.naver.c[...] 머니투데이 2005-03-10
[11] 뉴스 쌍용차, 3600cc급 2007년형 '뉴체어맨' 출시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06-06-15
[12] 뉴스 쌍용차, '하만 사운드' 장착한 체어맨·렉스턴 출시 http://autom.mt.co.k[...] 머니투데이 2012-10-31
[13] 뉴스 쌍용차, 스포츠 세단 컨셉트 카 'Wz'공개 http://www.edaily.co[...] 이데일리 2007-04-04



본 사이트는 AI가 위키백과와 뉴스 기사,정부 간행물,학술 논문등을 바탕으로 정보를 가공하여 제공하는 백과사전형 서비스입니다.
모든 문서는 AI에 의해 자동 생성되며, CC BY-SA 4.0 라이선스에 따라 이용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위키백과나 뉴스 기사 자체에 오류, 부정확한 정보, 또는 가짜 뉴스가 포함될 수 있으며, AI는 이러한 내용을 완벽하게 걸러내지 못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제공되는 정보에 일부 오류나 편향이 있을 수 있으므로, 중요한 정보는 반드시 다른 출처를 통해 교차 검증하시기 바랍니다.

문의하기 : help@durumis.com